경제공부를 하는 학생, 주식 투자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은 투자자에게 꼭 추천하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그 사이트는 바로 '한경 컨센서스'로 각 증권사에서 기업, 산업, 시장, 경제, 컨센서스, 기업정보에 대한
분석자료를 무료로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사이트에 올라온 자료중 끌리는 자료를 클릭해서 읽어보다 보면 어느새 국내외 경제에 대한 분석 실력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한경 컨센서스
hkconsensus.hankyung.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4월 21일 자로 올라온 'IBKS Economy Monitor'와 동일한 날짜에 올라온 '주식시장 투자전략'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외 경제에 대해 어떤 분석이 올라왔는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거시경제 - FOMC 금리 분석
연준의 기준금리는 2022년 1월 0.25%에서 2023년 3월 5.00 % 로 1년 2개월 사이에 4.75 bp 가 증가되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는 FOMC*에서 결정을 합니다. 다음번 금리가 결정되는 날은 5월 4일입니다. 블랙아웃기간**은 4월 22일부터 5월 4일입니다.
*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ee,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 연방준비제도 (FED, Federal Reserve System) 산하 기관으로 이사회 7명과 연방준비은행 총재 5명 총 12명으로 구성되며 연 8회 정례회의를 갖고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블랙아웃 기간? FOMC에서 금리 발표 일주일 전부터 연준 위원들이 대외 메시지를 시장에 전파하지 않는 기간.
위 자료를 보면 FOMC의 5월 금리는 현재보다 25bp가 증가된 5.25 %가 될 것이라는 의견이 75% 가까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의견이고요.
이에 대한 이유는 첫째로 미국 기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난다는 것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지표마다 일부 차이는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3월 중순 실리콘밸리은행 (SVB) 파산으로 인한 우려 때문입니다. 파산 여파는 아직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 3월 연준 회의록에 '경기 침체'라는 용어가 거론되었다는 점입니다.
컨센서스는 5월 5.25 %로 의견이 좁혀져 있기에 연준에서 이 이상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준의 비둘기파인 크리스토퍼 윌러가 50bp 가량 금리를 올려야 된다고 언급했음에도 이런 컨센서스는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FOMC에서는 금리 동결 혹은 금리 인상폭이 둔화된다는 발언을 했을 경우 시장에서 이를 반영해 인플레이션이 커질 것을 우려한 발언으로 보입니다. 즉, 시장 반응을 의식해 매파적인 행동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조금 더 먼 미래에 대한 시장의 예측자료를 보자면 시장에서는 이번 5월 5.25%를 최종금리로 보고 있고 9월 이후에는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반면 연준에서 보내는 메시지는 내년까지는 현재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뉘앙스이고요.
위의 표는 3월 기준 연준 점도표*입니다. 점도표를 보면 2023년을 정점으로 앞으로 금리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준 점도표: FOMC 회의가 끝나고 발하는 자료로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각 연준 의원들의 생각을 모아서 정리한 도표.
5월 4일 FOMC의 기준금리가 발표되면 앞으로 금리추이가 어떻게 변할지 어느 정도 확실한 가닥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네요.
국내경제 - 코스피 투자전략
다음은 국내증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2021년 3200을 돌파한 후 계속 내리막을 걷던 코스피 지수가 한은의 금리동결과 상승주도 종목의 실적 향상으로 저점을 찍고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는 2500 돌파 이후 2600에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위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를 보면 이전 고점 이후 23일 동안 -5.4%가 빠지며 하락하던 코스피 지수가 다시 반응하며 16일 동안 이전 고점 이상으로 치고 올라가는 모습일 보이고 있습니다.
그 특징 중 하나가 그동안 부진했던 상승주도 종목이 좋은 성과를 보이며 증시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업종별로 4월 15일 기준, 1W 전, 1M 전 영업이익 컨센서스 자료입니다. 대부분의 업종의 컨센서스가 상향조정되었고 증권, 호텔/레저, 자동차, 육상운송, 화학 부문은 10~20% 정도나 컨센서스 수치가 올라갔습니다.
삼성전자가 1분기 실적발표 후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여주었고 중국의 경기 회복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에 대한 전망치가 긍정적으로 반영되었습니다.
또한 글로벌 증시에 비해 3/14 ~ 4/19 기간 동안 코스닥과 코스피가 훨씬 높은 증시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적자료를 보시면 삼성전자는 전망치 대비 80%의 1Q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LG에너지설루션, LG전자, POSCO 홀딩스의 실적은 전망치를 웃돌며 코스피 분위기는 나쁘지 않습니다. 물론 1분기는 보통 보수적인 컨센서스가 제시되기 때문에 전망치 달성률이 높다는 점은 고려해야 되겠지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FOMC의 금리 추이와 코스피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처음에는 용어가 어렵더라도 한경컨센서스 분석자료를 하나씩 소화해 가면서
경제 지식을 늘려가시길 바랍니다.
댓글